Educational(104)
-
A pale blue dot
“우주의 창백한 푸른 점” 빚더미 가장 울린 글 [아살세]입력 : 2024-07-07 18:06/수정 : 2024-07-07 18:40기사와 상관없는 참고 사진. 게티이미지뱅크“따뜻한 한마디라도 듣고 싶습니다”여기, 여행업에 종사하다 코로나19에 직격탄을 맞고 경제적 어려움에 처했다는 한 남성이 있습니다. 당장 막아야 할 채무만 수천만원. 가족에 도움을 청해봐도 돌아오는 건 거절뿐. 거절한 사정이 있었겠지만, 씁쓸한 마음을 감출 수 없었던 남성은 지난 5일 온라인 커뮤니티에 글을 올렸습니다. 돈을 빌려달라는 게 아닙니다. 지친 마음을 달랠 위로의 한마디를 부탁한다는 것이었죠.덤덤하게 써 내려간 글이었지만 남성은 위태로워 보였습니다. 딸에게 미안하다고 했고, 처절한 외침을 할 곳이 온라인 공간밖에 없다고 ..
2024.07.14 -
힘들더라도 옳은 일을 해야 한다
[이인숙의3A.M.] GM을 살린 ‘간결하고 단순한 개혁’ | 세계일보 (segye.com) [이인숙의3A.M.] GM을 살린 ‘간결하고 단순한 개혁’회사에 뱀이 출몰했다. 어떻게 할 것인가? 1. 뱀에 관한 위원회를 구성한다. 2. 뱀에 대해 잘 아는 컨설턴트를 데려온다. 3. 1년 동안 뱀에 대해 논의한다. 미국의 3대 자동차 회사 GM의 뿌리 깊은 관www.segye.com[이인숙의3A.M.] GM을 살린 ‘간결하고 단순한 개혁’관련이슈이인숙의 3A.M. , 오피니언 최신입력 : 2024-06-19 23:28:45 수정 : 2024-06-19 23:28:44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자동차 공룡 몰락시킨 뿌리깊은 관료주의엔지니어 출신 첫 女 CEO의 선택은 정면돌파회사에 뱀이 출몰했다. 어떻게 할 것..
2024.07.01 -
세계 톱 100에 한국 대학 5곳...서울대, tokyo대 제쳤다
세계 톱 100에 한국 대학 5곳...서울대, 9년 만에 도쿄대 제쳤다 (chosun.com) 세계 톱 100에 한국 대학 5곳...서울대, 9년 만에 도쿄대 제쳤다세계 톱 100에 한국 대학 5곳...서울대, 9년 만에 도쿄대 제쳤다www.chosun.com 세계 톱 100에 한국 대학 5곳...서울대, 9년 만에 도쿄대 제쳤다윤상진 기자입력 2024.06.05. 21:25업데이트 2024.06.07. 10:42 54 서울대학교 전경. /조선일보 DB영국의 글로벌 대학 평가 기관 QS(Quacquarelli Symonds)가 5일 발표한 ‘2024 세계대학평가’에서 한국의 상위권 대학들의 순위가 대체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00위 안에 포함된 곳은 작년과 같은 5곳이었다. 서울대(31위)는 ..
2024.06.14 -
선친 / 가친 / 춘부장
[우리말 바루기 ] 선친 / 가친 / 춘부장 (koreadaily.com) [우리말 바루기] 선친 / 가친 / 춘부장 오랜만에 만난 친구에게 "선친은 잘 계시나?" 라고 묻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어법에 맞지 않다. '선친'은 내가 남에게 쓸 수 있는 말이다. 그것도 아머지가 이미 돌아가신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 "오늘은 선친의 제가사 있어서.." 와 같이 써야 한다. 살아계신 아버지를 남에게 높여 부르는 말로는 가친, 엄친 또는 부친이 있다. 한자어로 돌아가신 남의 아버지를 높여 부르는 말은 '선대인' 이고 살아 계신 남의 아버지를 높여 부르는 말은 '춘부장' 이다. 나의 아버지 : 부친 / 선친남의 아버지 : 춘부장 / 선대인
2024.05.08 -
정년 후 노인들, 이럴 때 버럭 화를
요즘 50대들의 가장 큰 고민 1위 "총명했던 부모님이..." | 책식주의 (daum.net) 요즘 50대들의 가장 큰 고민 1위 "총명했던 부모님이..."조회수 1.9만2024. 5. 3. 13:13 수정타임톡 0번역 설정글씨크기 조절하기
2024.05.03 -
공(公) , 사(私)
그렇다면 한자에서 공정함이나 공평함을 뜻하는 공(公)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사사로움을 뜻하는 사(厶=私의 원래 글자)에 팔(八)이 더해진 구조이다. 팔(八)은 어떤 물체를 두 쪽으로 나눠 놓은 모습이다. 예컨대 팔(八)에 칼을 뜻하는 도(刀)가 더해지면 분(分)이고, 말이 입에서 갈라져 나오는 모습을 그린 것이 兮(어조사 혜)인 것처럼 말이다. 사사로움과 개인적인 것을 해체하고 파괴한다는 뜻을 가진 공(公)이 상나라 선조에 대한 존칭으로, 최고의 작칭(爵稱)으로, 또 임금이나 상대에 대한 존칭으로 쓰였던 것은 의미심장하다. 사회의 최고위층에 있는 권력의 정점에 자리한 사람들이 가장 우선해야 할 가치 중의 하나가 ‘공평함’임을 천명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월간중앙 (joins.com)
2024.04.26